호수 2357호 2015.12.06 
글쓴이 정수호 사도요한 

예비신학교 하반기 프로그램 독서 감상문
 
『가장 멋진 삶』을 읽고

정수호 사도요한 / 임호성당, 고1

  잘 사는 것은 무엇인가? 예수님을 닮아 가는 삶이다. 분명 정답이지만, 나에게 이 답은 너무 막연했다. 그래서 실천하기 쉽지 않았다. 지금부터 예수님의 발자취를 따라 잘, 그리고 멋지게 살고 계신 한 신부님의 이야기를 소개하려 한다.

  이야기의 주인공은 프랑스인이다. 파리외방전교회 출신으로 한국에 파견된 두봉 주교님은 안동교구 초대 교구장을 지냈고, 지금은 피정 지도와 강연 등을 하시며 존경받는 주교님으로 살아가고 있다. 이 책은 2011년 사순절에 있었던 두봉 주교님의 특강을 정리한 책이다.

  책에서 주교님은 멋진 삶의 서두를‘행복’으로 열었다. 그리고 예수님 안에서 진정으로 행복할 수 있다면 무엇이 더 필요한가? 이를 위해서는‘선택’이 필요하다고 했다. 예수님께서 주신 십자가를 지고, 다른 선택에 대한 미련을 버릴 때 진정으로 바늘귀를 지나 행복한 삶을 살 수 있으며, 그물을 버리고 예수님을 따라나설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법정 스님의‘무소유’와도 일맥상통한다. 멋지지 않은가?‘빈손의 가득참’을 묵상해볼 수 있었다.

  멋진 삶의 필요 조건은‘사랑’이다. 예수님께서 몸소 실천하시고 우리에게 주신 이 계명은 가톨릭 신자의 필수덕목이다. 신부님은 이‘사랑’의 롤모델을 예수님으로 정했다. 그의 사랑은 자유롭고 정의로우며, 자비롭고 고통을 아는 사랑이다. 지혜롭고 자신 있으며, 늘 기도하는 것이 사랑이다. 가장 멋지게 사랑하려면 가장 멋지게 사랑한 분을 따라야 한다. 우리는 예수님을 따라 사는 사람들이다. 서로 사랑하는 것. 그것이 가장 멋진 삶이다.

  멋진 삶을 위해 마지막으로 필요한 것은‘꿈’이다. 두봉 주교님의 꿈은 하느님의 계획과 일치하는 꿈이다. 책에서 소개된 *루체 일화처럼, 예수님께서 주신 십자가를 자신의 꿈으로 여기고 기쁘게 받아들이는 것만큼 멋진 일도 없을 것이다.

  우리 예신에게는 늘 부르심에 귀기울이고, 세상의 소금으로 쓰이기 위해 기도하는 삶이 가장 멋진 삶이다.

  평소 잘 사는 것, 멋지게 사는 것에 대해 궁금한 것이 많던 나는, 주교님의 특강을 읽으면서 내 삶을 돌아보게 되었다. 모든 이의 모든 것, 영혼을 치유하는 사제가 되겠다는 꿈이 점점 희미해지고 있었던 것 같다. 그러나 지금도 행복을 찾고, 사랑하며, 예수님 곁으로 돌아갈 꿈을 꾸고 있는 한 주교님을 생각하면 머뭇거릴 시간이 없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멋진 차, 멋진 집을 가진 삶이 아니라, 가장 멋진 분을 따라 사는‘가장 멋진 삶’을, 나는 살아가겠다.

* 루체 일화 : 포콜라레 회원이었던 키아라 루체(1971-1990년)는 어린 나이에 골수암에 걸렸지만 예수님께서 겟세마니에서 죽음을 받아들이신 것과 같이 자신에게 닥친 고통과 죽음을 받아들였으며 2010년 10월에 시복되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231 2077호 2010.11.21  꿈과 희망을 향한 도전! 주보편집실  92
230 2042호 2010.03.28  교회의 사명과 4대강 사업 김준한 신부  92
229 2142호 2012.01.15  그분 안에 뿌리를 내리다. 최은혜 젬마  91
228 2484호 2018.04.15  부산가톨릭문인협회 창립 30주년을 맞아 배계선 브루노  90
227 2067호 2010.09.19  세 자매 교구 교류 프로그램을 다녀와서… file 박상범 요셉  89
226 2074호 2010.10.31  성전 축성식을 맞이하며… 임정순 엘리사벳  87
225 2003호 2009.07.26  청소년 신앙축제 청소년사목국  85
224 2795호 2024. 1. 21  2024학년도 부산알로이시오초등학교 신입생 모집 file 부산알로이시오초등학교  83
223 2411호 2016.12.04  젊음, 사랑, 자비, 그리고 믿음 - 2016.7.18.~8.5. 2016 세계청년대회를 다녀오다! 우수연 아녜스  83
222 2295호 2014.10.12  가슴 설레는 이 느낌 이광훈 시몬  83
221 2176호 2012.08.26  그대와 나의 속함으로 인하여…… 정경희 페트라  83
220 2052호 2010.06.06  '사제의 해를 마무리하며' 전동기 신부  83
219 2019호 2009.10.29  나보따스의 천사 백창희 프란체스카  83
218 2443호 2017.07.16.  땅에서 배우는 겸손 김성중 베드로  82
217 2278호 2014.06.22  2014년 사제연수를 다녀와서 김준한 신부  82
216 2072호 2010.10.17  부산가톨릭대학교 제 2의 도약 file 부산가톨릭대학교  82
215 1996호 2009.06.14  민족화해위원회를 소개합니다. 정호 신부  82
214 2508호 2018.09.30  2018년 사회교리학교(주제/심화강좌)에 초대합니다. 정의평화위원회  81
213 2480호 2018.03.18  음악공부는 간절함이 있어야... - 야간과정 수강생의 고백 임석수 신부  81
212 2513호 2018.11.04  대양전자통신고등학교 - 대양전자통신고등학교 file 대양전자통신고등학교  80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