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357호 2015.12.06 
글쓴이 정수호 사도요한 

예비신학교 하반기 프로그램 독서 감상문
 
『가장 멋진 삶』을 읽고

정수호 사도요한 / 임호성당, 고1

  잘 사는 것은 무엇인가? 예수님을 닮아 가는 삶이다. 분명 정답이지만, 나에게 이 답은 너무 막연했다. 그래서 실천하기 쉽지 않았다. 지금부터 예수님의 발자취를 따라 잘, 그리고 멋지게 살고 계신 한 신부님의 이야기를 소개하려 한다.

  이야기의 주인공은 프랑스인이다. 파리외방전교회 출신으로 한국에 파견된 두봉 주교님은 안동교구 초대 교구장을 지냈고, 지금은 피정 지도와 강연 등을 하시며 존경받는 주교님으로 살아가고 있다. 이 책은 2011년 사순절에 있었던 두봉 주교님의 특강을 정리한 책이다.

  책에서 주교님은 멋진 삶의 서두를‘행복’으로 열었다. 그리고 예수님 안에서 진정으로 행복할 수 있다면 무엇이 더 필요한가? 이를 위해서는‘선택’이 필요하다고 했다. 예수님께서 주신 십자가를 지고, 다른 선택에 대한 미련을 버릴 때 진정으로 바늘귀를 지나 행복한 삶을 살 수 있으며, 그물을 버리고 예수님을 따라나설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법정 스님의‘무소유’와도 일맥상통한다. 멋지지 않은가?‘빈손의 가득참’을 묵상해볼 수 있었다.

  멋진 삶의 필요 조건은‘사랑’이다. 예수님께서 몸소 실천하시고 우리에게 주신 이 계명은 가톨릭 신자의 필수덕목이다. 신부님은 이‘사랑’의 롤모델을 예수님으로 정했다. 그의 사랑은 자유롭고 정의로우며, 자비롭고 고통을 아는 사랑이다. 지혜롭고 자신 있으며, 늘 기도하는 것이 사랑이다. 가장 멋지게 사랑하려면 가장 멋지게 사랑한 분을 따라야 한다. 우리는 예수님을 따라 사는 사람들이다. 서로 사랑하는 것. 그것이 가장 멋진 삶이다.

  멋진 삶을 위해 마지막으로 필요한 것은‘꿈’이다. 두봉 주교님의 꿈은 하느님의 계획과 일치하는 꿈이다. 책에서 소개된 *루체 일화처럼, 예수님께서 주신 십자가를 자신의 꿈으로 여기고 기쁘게 받아들이는 것만큼 멋진 일도 없을 것이다.

  우리 예신에게는 늘 부르심에 귀기울이고, 세상의 소금으로 쓰이기 위해 기도하는 삶이 가장 멋진 삶이다.

  평소 잘 사는 것, 멋지게 사는 것에 대해 궁금한 것이 많던 나는, 주교님의 특강을 읽으면서 내 삶을 돌아보게 되었다. 모든 이의 모든 것, 영혼을 치유하는 사제가 되겠다는 꿈이 점점 희미해지고 있었던 것 같다. 그러나 지금도 행복을 찾고, 사랑하며, 예수님 곁으로 돌아갈 꿈을 꾸고 있는 한 주교님을 생각하면 머뭇거릴 시간이 없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멋진 차, 멋진 집을 가진 삶이 아니라, 가장 멋진 분을 따라 사는‘가장 멋진 삶’을, 나는 살아가겠다.

* 루체 일화 : 포콜라레 회원이었던 키아라 루체(1971-1990년)는 어린 나이에 골수암에 걸렸지만 예수님께서 겟세마니에서 죽음을 받아들이신 것과 같이 자신에게 닥친 고통과 죽음을 받아들였으며 2010년 10월에 시복되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231 2541호 2019.05.05  2019년 성가정 축복미사 가톨릭부산  75
230 2535호 2019.03.24  현시대에 필요한 또 하나의 소명 민정아 루시아  45
229 2532호 2019.03.03  “너 동굴에서 미사 해본 경험 있어?” 고도경 보나  33
228 2529호 2019.02.10  순례 여정이 신앙의 기쁨으로 도용희 토마스아퀴나스  22
227 2528호 2019.02.03  설 차례 예식 file 가톨릭부산  29
226 2527호 2019.01.27  누가 나를 이끌어 주지 않으면 내가 어떻게 알아들을 수 있겠습니까?(사도 8,31) 권순호 신부  43
225 2525호 2019.01.13  아르카 청년성서모임 “찬양의 밤” 이소희 모니카  116
224 2520호 2018.12.23  2018년 부산교구 사제, 부제 서품식 file 가톨릭부산  254
223 2518호 2018.12.09  노래를 잘 부르는 사람은 두 배로 기도한다 임석수 신부  65
222 2515호 2018.11.18  천주교부산교구 학교법인 성모학원 산하 고등학교 file 가톨릭부산  247
221 2513호 2018.11.04  대양전자통신고등학교 - 대양전자통신고등학교 file 대양전자통신고등학교  80
220 2512호 2018.10.28  '믿음의 해' 특집 (2) - 올해 사목지침대로 잘 살고 계십니까?마무리 할 때가 다가옵니다. file 가톨릭부산  23
219 2511호 2018.10.21  '믿음의 해' 특집 (1) 올해 사목지침대로 잘 살고 계십니까? 마무리 할 때가 다가옵니다. file 가톨릭부산  37
218 2508호 2018.09.30  2018년 사회교리학교(주제/심화강좌)에 초대합니다. 정의평화위원회  81
217 2506호 2018.09.16  “제4회 한국청년대회 참가자 수기” - 세상에 건넨 작은 인사 : 임마누엘 한그린 미카엘라  55
216 2504호 2018.09.02  가정을 세우는 ‘성요셉아버지학교’ 가정사목국  104
215 2503호 2018.08.26  성가정의 지름길 ‘성모어머니학교’ 가정사목국  100
214 2497호 2018.07.15  농민주일 - 생태적 통공(通功)을 고백하기 김인한 신부  59
213 2495호 2018.07.01  너희는 외딴 곳으로 가서 좀 쉬어라 (마르 6,31) 김경욱 신부  101
212 2494호 2018.06.24  본당순례를 마치면서 김규인 요셉  55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