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 연도는 우리나라에만 있나요?

by petersong posted Nov 03, 201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필자가 본당 교우의 어르신께서 선종하셔서 서울로 문상을 갔었는데 그 곳 본당 형제 자매 분들이 오셔서 드리는 우리 가락의 연도가 그렇게 아름다울 수가 없었어요. 연도에 대한 눈을 뜨게 되었고 한동안 그 아름다운 기억을 잊을 수가 없었습니다.

 

한국 교회에는 연옥 영혼을 위해 드리는 연도(煉禱)’라는 독특한 방식의 기도가 있습니다. ‘위령기도라고도 하지만, 여전히 연도로 널리 통용되고 있지요.

 

천주교 신자가 돌아가셨을 때, 빈소에 가보면 조문을 온 신자들이 시편에 우리 가락을 붙여 기도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시편에 단성 가락을 붙여 기도하는 것은 우리 전통을 전례에 받아들여 만든 한국 천주교만의 독특한 예식입니다.

 

위령기도 자체는 우리만의 독보적인 것이 아닙니다. 유럽에는 시편을 토대로 죽은 이들을 위한 기도가 있었으나, 우리나라 초기의 파리외방 전교회 사제인 선교사들이 들여 온 기도문에 우리의 운율과 가락에 맞춰 기도하던 것이 우리에게까지 전해진 것입니다. 유럽에서 하는 기도문에는 성인호칭 기도는 없습니다. 우리는 시작기도 다음에 시편 63, 130, 51편을 이어서 노래하고, 성인호칭 기도, 찬미와 간구, 그리고 주님의 기도와 마침 기도로 끝을 맺습니다.

 

이 땅에 천주교가 처음 들어 왔을 때 제사를 지낼 수 없었던 우리 조상들이 매우 지혜로운 방법을 창안해 내었습니다. 죽은 이의 영혼을 위해 기도해 주고 고인의 유족을 위해 봉사함으로써 사실상 제사의 다른 형식을 열어 놓았던 것입니다.  그리고 마침내 오늘날 교회는 제사를 고유문화의 일부로 인정하여 한국 가톨릭 신자들은 조상을 위해 음식을 마련하고 연도를 바침으로써 가톨릭적인 제사를 지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서구에서 장래미사에 사용되는 모짜르트 레퀴엠 중 부속가 마지막 구절 곡인 라크리모사보다 아름답고 토속적으로 애절함의 극치를 진혼의 기도로 승화시킨 우리의 전통 연도를 잘 보존해 나가도록 합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