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알아야 할 교회 예절

교황님께서 우리나라 방문길에 오르셔서 기내에서 일행들과 함께 성무일도(聖務日禱)를 바치시는 모습을 외신에서 본적이 있습니다. 성무일도는 거룩한 직무로서 일상에서 바치는 기도입니다. 이 기도가 거룩한직무 또는 의무가 되는 것은 그것이 하느님께 드리는 전례이기 때문입니다.

 

사제, 부제, 수도자는 이 기도를 날마다 바칠 의무가 있습니다. 교회는 꼭 그들만이 아니라 신자들도 이 기도를 하도록 적극 권장합니다.

 

성무일도의 다른 이름은 시간경입니다. 새벽부터 하루 동안 특정한 시간에 맞춰 하느님께 찬미 드리기 때문입니다. 시간에 따라 약간씩 형식이 다릅니다. 시간에 따라 시편을 노래하고, 성경과 교부, 성인들의 말씀을 묵상합니다. 청원 기도로 우리의 바람을 하느님께 말씀드리기도 합니다.

 

성무일도의 기원은 유다인들의 기도 전통에까지 거슬러 올라 갑니다. 유다인들은 하루에 여러 번 하느님께 찬양을 올렸다고 합니다.  하루에도 일곱 번 당신을 찬양하니….”(시편 119,164) 사도들도 이 전통을 유지했습니다.  동트는 시각을 아침 여섯 시로 하고, 이때부터 세 시간 간격으로 시간을 정해 기도했습니다. 삼시경(사도2,15), 육시경(사도 10,9), 구시경(사도 3,1), 밤기도(사도 16,25) . 여기에 아침기도와 저녁기도, 새벽기도 등이 들어갑니다. 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에는 간략하게 되어 아침, 점심, 저녁, 밤기도만 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봉쇄수도원에서 여전히 삼시경(아침 9), 육시경(정오), 구시경(오후 3)을 하고 있습니다.

 

오래 전 필자가 수도원 재속 회원으로 있을 때 성무일도를 열심히 바친 적이 있습니다.일반적으로 신자들이 성무일도를 꼬박꼬박 바친다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그렇지만 하루를 시작하고 마칠 때 하느님을 찬미하며 시작하고 감사하며 잠자리에 들 수 있다면, 우리 삶 전체가 아름다운 기도가 될 것입니다.

 

매일 두꺼운 기도서를 들고 어렵게 페이지를 찾아가며 기도 바치던 때가 엊그제 같았는데, 요즈음은 스마트폰 앱 가톨릭으로 아주 쉽게 매일 기도를 올릴 수 있는 참으로 편하고 감사한 세상이 되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1 40. 낙태를 당한 아기는 천국으로 갈 수 있나요? petersong 2019.08.03 255
30 41. 성사를 ‘보다’, ‘참례하다’, ‘받다’ 등 여러 표현 중에 어느 것이 맞나요? petersong 2019.08.14 126
29 42. 한국 천주교회도 외국처럼 기혼(결혼한) 부제가 있나요? petersong 2019.08.24 199
28 43. 성당 다니다가 개신교 교회를 다니면 ‘냉담자’(쉬는 교우) 인가요? petersong 2019.09.13 235
27 44. 구원을 받으려면 꼭 세례를 받아야 하나요? petersong 2019.09.13 127
26 45. 기적인지 어떻게 아나요? petersong 2019.10.11 115
» 46. 성무일도가 뭐죠? petersong 2019.10.26 181
24 47. 연도는 우리나라에만 있나요? petersong 2019.11.03 132
23 48.고해성사와 교회의 권한 petersong 2019.11.21 74
22 49. 참회의 행위 petersong 2019.12.03 122
21 50. 사제가 용서할 수 없는 죄 petersong 2019.12.11 519
20 51. 예수님 탄생일과 크리스마스 의미 petersong 2019.12.18 119
19 52. 교회의 어머니 마리아, 인류의 모범 마리아. petersong 2020.01.01 79
18 53. 성모님께 드리는 기도는 전구(轉求) petersong 2020.01.16 136
17 54. 미사때 특별히 가져야 할 자세 petersong 2020.01.23 179
16 55. 어떤 기도가 가장 좋은 기도? petersong 2020.02.11 247
15 56. 사순(四旬)시기가 왜 생겼나요? petersong 2020.02.24 70
14 57. 사순(四旬)시기에도 부활은 계속됩니다 petersong 2020.03.07 38
13 58. 장례미사 때에 평화의 인사를 하나요? petersong 2020.03.20 126
12 59. 죄(罪)와 벌(罰) 그리고 대사(大赦) petersong 2020.03.29 5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