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알아야 할 교회 예절

결론적으로 말씀드리면 모두 올바른 표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성사를 보다라고 할 때, 흔히 집전자가 성사를 거행하는 것을 그저 구경꾼처럼 지켜보는 것을 연상하는 이들이 있습니다. 그래서 어떤 본당에서는 성사를 보다라는 말은 옳지 않다고 가르친다는 얘기를 들었습니다.

 

그러나 보다에는 어떤 일을 맡아서 하다, 어떤 일을 겪거나 얻어 가지다.”(표준 국어 대사전)는 뜻이 있습니다.  예컨대 일을 보다, 장을 보다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제삼자나 방관자처럼 지켜보려는 의도로 성사에 참여하는 것이 아니라면, 특히 고해성사의 경우에 성사를 보다라고 말하는 것은 오히려 우리말의 고유함을 살리는 표현입니다.

 

성사에 참례하다는 표현은 전례나 예식에 참여하는 것을 가리키는 말로서 널리 적용할 수 있습니다. ‘성사 예식에 참여하여 은총을 받아 누리다.’의 의미로는 성사에 참여하다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편 성사를 받다는 표현은 공경하는 마음으로 삼가받다는 뜻의 배령(拜領)과 연결해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사제들의 직무 사제직 또는 교계적 사제직에 반하여, 세례를 통하여 공통된 보편 사제직분을 받은 일반 신자들은 능동적으로 성사거행에 참여토록 요구받는다는 것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1 40. 낙태를 당한 아기는 천국으로 갈 수 있나요? petersong 2019.08.03 266
» 41. 성사를 ‘보다’, ‘참례하다’, ‘받다’ 등 여러 표현 중에 어느 것이 맞나요? petersong 2019.08.14 133
29 42. 한국 천주교회도 외국처럼 기혼(결혼한) 부제가 있나요? petersong 2019.08.24 217
28 43. 성당 다니다가 개신교 교회를 다니면 ‘냉담자’(쉬는 교우) 인가요? petersong 2019.09.13 254
27 44. 구원을 받으려면 꼭 세례를 받아야 하나요? petersong 2019.09.13 133
26 45. 기적인지 어떻게 아나요? petersong 2019.10.11 122
25 46. 성무일도가 뭐죠? petersong 2019.10.26 194
24 47. 연도는 우리나라에만 있나요? petersong 2019.11.03 137
23 48.고해성사와 교회의 권한 petersong 2019.11.21 88
22 49. 참회의 행위 petersong 2019.12.03 131
21 50. 사제가 용서할 수 없는 죄 petersong 2019.12.11 595
20 51. 예수님 탄생일과 크리스마스 의미 petersong 2019.12.18 137
19 52. 교회의 어머니 마리아, 인류의 모범 마리아. petersong 2020.01.01 81
18 53. 성모님께 드리는 기도는 전구(轉求) petersong 2020.01.16 178
17 54. 미사때 특별히 가져야 할 자세 petersong 2020.01.23 221
16 55. 어떤 기도가 가장 좋은 기도? petersong 2020.02.11 286
15 56. 사순(四旬)시기가 왜 생겼나요? petersong 2020.02.24 79
14 57. 사순(四旬)시기에도 부활은 계속됩니다 petersong 2020.03.07 43
13 58. 장례미사 때에 평화의 인사를 하나요? petersong 2020.03.20 151
12 59. 죄(罪)와 벌(罰) 그리고 대사(大赦) petersong 2020.03.29 7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