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단 묵주기도(성모 칠고. 칠락기도)의 유래

글쓴이 :  q_login.gif 나눔지기
첨부파일1 :   7go_anaweli07721.jpg (76.2 KB)
   

7go_anaweli07721.jpg

The Seven Sorrows of the Virgin-DURER, Albrecht.
c.1496. Oil on panel,Alte Pinakothek,Munchen and Gemaldegalerie, Dresden
9월 15일 고통의 성모 마리아 기념일
Feast of Our Lady of Sorrows.

7단 묵주기도는 성모칠고, 칠락기도입니다.

각각에 대한 유래는 아래와 같습니다.

■ 성모칠락 (seven joys of the Blessed Virgin Mary)

성모 마리아의 일생에 있어 성서에 기록된 바 특별한 일곱 가지의 기쁨을 기념하는 신심.
그 기쁨의 수는 때로 5가지, 12가지로 기념되기도 했으나 성모칠락이 보편화되었다.
그 내용은 성모영보, 엘리사벳을 방문함, 예수의 탄생, 예수공현, 성전에서 예수를 다시 찾음, 예수부활, 성모승천 등이다.
프란치스코회는 특별히 축일을 정해 성모의 기쁨을 기념하며, 성모칠락의 로사리오 기도를 전파시켰다.
이 신심은 영국 가톨릭 지방에 널리 퍼졌으며 오늘날 포르투갈과 브라질같은 나라에서는
부활 제2주일 후 월요일을 축일로 지낸다.

■ 성모칠고(성모통고, sorrows of Mary)

성모마리아가 아들 예수 그리스도로 인하여 받았던 슬픔가 고통을 말한다. 성모통고는 예수의 구세사적인 수난과 죽음에서 절정을 이룬다. 성모 통고에 대한 신심은 성모가 예수의 십자가 아래 서 있었다는 사실에 근거한다.(요한 19:25) 또한 성모가 아기 예수를 봉헌하러 갔을 때의 예언자 시메온이 성모의 마음이 날카로운 칼에 찔리듯 괴로움을 받게 되리라는 예언(루가 2:35)에도 근거한다.

성모 통고에 대한 신심은 6세기에 동방에서 먼저 발달되어, 여러 예술작품을 통해 이를 표현해 왔다. 서방에서는 12세기에 시작되어 특히 이 신심을 목적으로 한 성모마리아의 시녀회(Servites)가 창립(1233년)되면서 본격적으로 되었다. 

성모통고의 숫자가 처음에는 확정되지 않았는데, 14세기에는 그리스도의 다섯 상처를 본떠 다섯 가지로 정해진 적도 있으며 7, 8, 9, 23등 150가지로도 가능하였다.  그러나 15세기말경 7이란 숫자가 가지고 있는 상징과 또한 성모칠락과도 연관되어 성모칠고로 고정되었는데 이는 쿠덴베르크의 사제였던 요한의 영향때문이었다.

성모통고의 기념일은 1960년까지는 두 가지였다. 즉 고난주일(현재의 사순 제5주일) 후 금요일에 지켜지던 축일(the seven sorrow of the Blessed Virgin Mary)은 1423년 쾰른 교회의회에서 결정된 미사에서 발견되는데, 1482년 교황 식스토 4세가 전례적인 미사를 만들어 로마 미사 전례서에 삽입시켰다. 이 축일은 몇몇 수도단체와 나라에서 지켜지다가 1727년 교황 베네딕토 13세에 의해 전교회(全敎會)에서 지켜졌다. 그러나 1960년의 예식서는 이 축일지키는 것을 감소시켰다.

두번째 축일은 16세기 세르비트회가 주창한 성모통고신심에서 시작된 것으로 9월 셋째주일에 미사와 행렬을 하는 것이 1600년경에는 대중화되어, 1688년 교황 복자 인노첸시오 11세에 의해 이 날이 축일로 인가되었다.  1814년 교황 비오 7세가 이 축일을 전교회로 확장시켰으며, 1908년 교황 성비오 10세가 축일의 등급을 높였다. 1913년부터는 9월 15일(the seven sorrow of the B.V.Mary)로 고정되었고 1969년부터는 의무적 기념일로만 남게 되었다.

출처 : 서울마리아센터 제98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9 묵주기도 유례,의미,약속,방법,구성 개금체칠리아성가대박그레고리오 2025.05.31 22
108 마리아 공경의 근거와 배경에 관한 고찰[출처: 조규만 신부님의 "마리아론"] 개금체칠리아성가대박그레고리오 2025.05.31 12
107 성모송 세 번으로 얻는 은총[김영겸시몬수사] 개금체칠리아성가대박그레고리오 2025.05.31 18
106 주요 기도문 모음 개금체칠리아성가대박그레고리오 2025.03.23 105
105 레지오 마리애 역사 동영상(파일첨부) 개금체칠리아성가대박그레고리오 2024.10.22 24
104 묵주기도 유례, 의미, 약속, 방법, 구성 개금체칠리아성가대박그레고리오 2024.10.22 274
103 성모 칠락 기도의 유래 개금체칠리아성가대박그레고리오 2024.10.22 129
102 성모 칠락 기도(기도문) 개금체칠리아성가대박그레고리오 2024.10.22 137
101 성모 칠고 기도의 은총 개금체칠리아성가대박그레고리오 2024.10.22 44
100 성모 칠고 기도(기도문) 개금체칠리아성가대박그레고리오 2024.10.22 304
» 7단 묵주기도(성모 칠고,칠락 기도)의 유래 개금체칠리아성가대박그레고리오 2024.10.22 310
98 하느님의 어머니이신 성모 마리아 개금체칠리아성가대박그레고리오 2024.10.22 24
97 과달루페 성모님, 뤼두박 성모님, 루르드 성모님 개금체칠리아성가대박그레고리오 2024.10.22 14
96 천주교 부산교구 꾸르실료 홈페이지 개금체칠리아성가대박그레고리오 2024.07.13 59
95 한국 레지오 마리애, 서울 세나뚜스[Senatus] 개금체칠리아성가대박그레고리오 2024.05.17 216
94 메주고리예[Medugorje,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의 성모 발현 개금체칠리아성가대박그레고리오 2024.02.11 535
93 파티마[Fatima,포르투칼]의 성모 발현 개금체칠리아성가대박그레고리오 2024.02.11 102
92 루르드[Lourdes]의 성모 발현 개금체칠리아성가대박그레고리오 2024.02.11 105
91 성모송[Ave Maeia] 개금체칠리아성가대박그레고리오 2024.02.11 46
90 삼종기도[Angelus] 개금체칠리아성가대박그레고리오 2024.02.11 6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